본문 바로가기

언론 인터뷰

(20)
[미래교육]카카오, 제주도서 공교육 시장 첫발…글로벌 기업과 경쟁(전자신문) 네이버, 카카오가 교육시장에 들어온다는것은 많은 의미가 있다. 방관자처럼 방치해 놓았던 국내 공교육 시장이 이제 시장처럼 보인다는것. 그리고 해외 플랫폼과 경쟁할 수 있는 제품이 만들어질 수 있다는것. 국내 사용자의 니즈를 잘 반영해 줄 수 있다는 것이다. 제발 사용자와 함께 만들어나가는 서비스가 되기를. 2021-09-26 전자신문 https://n.news.naver.com/article/030/0002971477 카카오, 제주도서 공교육 시장 첫발…글로벌 기업과 경쟁 카카오가 제주도 공교육 현장에 '카카오워크'를 활용한 정보기술(IT) 서비스를 제공한다. 국내 에듀테크 기업과 손잡고 온라인 실시간 강의는 물론 학업관리와 같은 기능을 지원한다. 이보다 앞 n.news.naver.com 조기성 스마트교..
[미래교육]전남창의융합교육원, 온종일 체험학습 실시(교육연합신문) 전남창의융합교육원에서 학부모 대상으로 했던 미래교육 강의 이날 아침 일찍 일어나 KTX를 타고 처음으로 나주에 갔었다. 강의 대상자의 눈빛들을 보며 반응을 살피며 강의하는데 많은 분들이 집중해서 듣고 있는 긍정적 반응을 보며 즐겁게 강의를했다. http://www.eduyonhap.com/news/view.php?no=58098 2021.06.07 전남창의융합교육원, 온종일 체험학습 실시 전남창의융합교육원, 온종일 체험학습 실시 / 깊이가 다른 교육 전문지 교육연합신문 입니다. 교육신문, 학생, 학부모, 교사, 학교, 학원, 교육청, 교육감, 교육정책, 문화, 칼럼, 입시, 유학 정보 www.eduyonhap.com 체험학습과 함께 이루어진 학부모교육은 스마트교육학회 조기성(계성초등학교 교사) 회장이 ‘..
[미래교육]인공지능이 교육 불평등을 해소할까(시사IN) 인공지능교육과 관련한 인터뷰를 할때는 기술보다는 교육의 본질을 이야기 하고 있다. 기술이 어떻게 학습자를 돕게 할 수 있는지에 대해. 기사에 나오는 기업들이 대부분 잘 아는 기업들이고 캐치잇잉글리시는 자문을 하고 있고 마블러스도 초기에 대표님이 교실에 찾아오셔서 방향성에 대해 이야기 했던 기억이 있다. https://www.sis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040 2020. 10.28 시사인 인공지능이 교육 불평등을 해소할까 - 시사IN ‘인공지능은 불평등을 더욱 심화시킬 것이다. 인공지능은, 기계가 그동안 감당하지 못했던 일들을 할 수 있게 만든다. 일터에서 인간을 기계로 대체할 것이다. 사람들은 결국 인공지능과 관련 www.sisain.co.kr 한국 정부는..
[미래교육]뉴 이퀼리브리엄(전자신문) 교육부의 차세대원격교육 자문위원인 네명이 교육의 미래에 대한 대담을 하고 그 대담을 책으로 엮었다. 이 책은 변화될 교육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기획하였고 세분의 교수님과 함께 화상시스템을 통해 공간을 넘어 교육에 대한 열정을 공유했던 즐거운 기억으로 남는 책이다. 정리가 좀 늦어서 출간이 늦어졌지만 많은 분들이 읽고 인사이트를 얻기를 바란다. https://www.etnews.com/20210909000262 '뉴 이퀼리브리엄' 내놓은 미래 교육 전문가 4인..."위기는 곧 기회다" 교육 분야를 대표하는 4명의 전문가가 모여 미래 교육을 논한 대담을 다룬 새 책 뉴 이퀼리브리엄(미래 교육의 새로운 균형을 찾아서)이 나왔다. 정제영 이화여대 교육학과 교수(미래교육연구소 www.etnews.com '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