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25)
[미래교육]'스마트 러닝' 시작은 했지만…갈피 못 잡는 정부 MBN 2012.03.28 정책이 나왔으나 제대로 실천되지 않는 것에 대한 질책성 뉴스인듯하다. 제목은 좀 그렇지만 수업 장면이 잘 나왔던 뉴스, 10여년전이라 참 젊다. 초기 스마트교실의 모습을 볼 수 있고 삼성과 함께 만들었던 매직IMS의 초기 모습을 볼 수 있다. 영상을 보면 초기에는 어떤 생각으로 수업을 했는지가 보인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POD&mid=tvh&oid=057&aid=0000190637 영상은 아래를 클릭하시면 볼 수 있습니다. '스마트 러닝' 시작은 했지만…갈피 못 잡는 정부 【 앵커멘트 】 세계 최고 수준인 대한민국의 IT 기술 덕에 모바일 기기를 활용한 교육 분야에서도 우리 기술은 세계의 부러움을 사고 있습니다. 하지만, 정부의 정책이 갈피를..
[미래교육]책 가방이 사라졌다…'스마트 교실' 미리보기(SBS) 2012.01.18 2012년 1월 17일 SBS 8시 뉴스. 신문에는 여러번 언급되었으나 공중파 뉴스에는 처음으로 나오게 되었다. 공중파 메인 뉴스에 나왔기에 지인들에게 연락도 참 많이 받았다. 이후에도 교육사례보도가 참 많았지만 처음이라는 의미가 크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POD&mid=tvh&oid=055&aid=0000220645 영상은 아래를 클릭하시면 볼 수 있습니다. 책 가방이 사라졌다…'스마트 교실' 미리보기 다음 소식입니다. 저희 아이 학교갈 때 보면은 무슨 등산가는 아이처럼 가방에 책 잔뜩 넣고 힘겹게 등에 매는 모습에 안쓰럽곤 합니다. 스마트 교실이라는게 ... news.naver.com
[미래교육]사상 초유 '온라인 개학' 시작…현장 목소리는? JTBC아침뉴스 2020.04.08 JTBC 맞장토론이라는 프로그램에서 전대원 선생님과 함께 했다. 온라인 개학을 앞두고 토론이라기보다는 의견 나눔정도였다. 온라인 개학을 앞두고 KBS, EBS에 이어 JTBC 아침 생방에 나오게 되었다. 생각보다 아침에 JTBC뉴스 시청률이 높은지 연락을 참 많이 받았다. https://youtu.be/EvBS_uKj6eE 2020.04.08 JTBC아침 맞장토론 LIVE
[미래교육]카카오, 제주도서 공교육 시장 첫발…글로벌 기업과 경쟁(전자신문) 네이버, 카카오가 교육시장에 들어온다는것은 많은 의미가 있다. 방관자처럼 방치해 놓았던 국내 공교육 시장이 이제 시장처럼 보인다는것. 그리고 해외 플랫폼과 경쟁할 수 있는 제품이 만들어질 수 있다는것. 국내 사용자의 니즈를 잘 반영해 줄 수 있다는 것이다. 제발 사용자와 함께 만들어나가는 서비스가 되기를. 2021-09-26 전자신문 https://n.news.naver.com/article/030/0002971477 카카오, 제주도서 공교육 시장 첫발…글로벌 기업과 경쟁 카카오가 제주도 공교육 현장에 '카카오워크'를 활용한 정보기술(IT) 서비스를 제공한다. 국내 에듀테크 기업과 손잡고 온라인 실시간 강의는 물론 학업관리와 같은 기능을 지원한다. 이보다 앞 n.news.naver.com 조기성 스마트교..
[미래교육]전남창의융합교육원, 온종일 체험학습 실시(교육연합신문) 전남창의융합교육원에서 학부모 대상으로 했던 미래교육 강의 이날 아침 일찍 일어나 KTX를 타고 처음으로 나주에 갔었다. 강의 대상자의 눈빛들을 보며 반응을 살피며 강의하는데 많은 분들이 집중해서 듣고 있는 긍정적 반응을 보며 즐겁게 강의를했다. http://www.eduyonhap.com/news/view.php?no=58098 2021.06.07 전남창의융합교육원, 온종일 체험학습 실시 전남창의융합교육원, 온종일 체험학습 실시 / 깊이가 다른 교육 전문지 교육연합신문 입니다. 교육신문, 학생, 학부모, 교사, 학교, 학원, 교육청, 교육감, 교육정책, 문화, 칼럼, 입시, 유학 정보 www.eduyonhap.com 체험학습과 함께 이루어진 학부모교육은 스마트교육학회 조기성(계성초등학교 교사) 회장이 ‘..
[미래교육]인공지능이 교육 불평등을 해소할까(시사IN) 인공지능교육과 관련한 인터뷰를 할때는 기술보다는 교육의 본질을 이야기 하고 있다. 기술이 어떻게 학습자를 돕게 할 수 있는지에 대해. 기사에 나오는 기업들이 대부분 잘 아는 기업들이고 캐치잇잉글리시는 자문을 하고 있고 마블러스도 초기에 대표님이 교실에 찾아오셔서 방향성에 대해 이야기 했던 기억이 있다. https://www.sis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040 2020. 10.28 시사인 인공지능이 교육 불평등을 해소할까 - 시사IN ‘인공지능은 불평등을 더욱 심화시킬 것이다. 인공지능은, 기계가 그동안 감당하지 못했던 일들을 할 수 있게 만든다. 일터에서 인간을 기계로 대체할 것이다. 사람들은 결국 인공지능과 관련 www.sisain.co.kr 한국 정부는..
[미래교육]뉴 이퀼리브리엄(전자신문) 교육부의 차세대원격교육 자문위원인 네명이 교육의 미래에 대한 대담을 하고 그 대담을 책으로 엮었다. 이 책은 변화될 교육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기획하였고 세분의 교수님과 함께 화상시스템을 통해 공간을 넘어 교육에 대한 열정을 공유했던 즐거운 기억으로 남는 책이다. 정리가 좀 늦어서 출간이 늦어졌지만 많은 분들이 읽고 인사이트를 얻기를 바란다. https://www.etnews.com/20210909000262 '뉴 이퀼리브리엄' 내놓은 미래 교육 전문가 4인..."위기는 곧 기회다" 교육 분야를 대표하는 4명의 전문가가 모여 미래 교육을 논한 대담을 다룬 새 책 뉴 이퀼리브리엄(미래 교육의 새로운 균형을 찾아서)이 나왔다. 정제영 이화여대 교육학과 교수(미래교육연구소 www.etnews.com '뉴 ..
오랜만에 가본 이화여대 앞. 안타까운 상권 붕괴 이화여대에 방문할 일이 있어서 경의 중앙선을 타고 신촌역에 내렸다. (한시간 한대) 지도에 파란색으로 표시한 길이 아래 내용의 길이다. 현대화된 신촌역사를 보면서 예전 신촌역에 자주 왔던 기억이 생각났다. 새로운 신촌역은 메가박스 이외에는 아무것도 없는듯해서 이상하게 생각했다. 20여년쯤 자주 갔던 경의선 기차역 신촌역의 모습을 보존하고 있다. 현대화된 신촌역을 뒤로 하고 이화여대까지 걸어가고 있는데 신촌역부터 이화여대 정문까지 걸어가는 약 10분 거리에 발견한 1층 공실. 이화여대에 근무하는 지인의 말로는 싸드 사태 중국인들의 발길이 끊기면서 1차로 상권붕괴가 되고 코로나19로 2차 상권붕괴가 되었다는. 저곳에서 영업하던 소상공인들이 모두 폐업을 하게 되었을거고 건물주들도 임대료를 받지 못해 타격을 받..